• 5468
  • 2009-07-02
    도서관, 자율·전문성 강화를

  • [경향신문 2005-06-02]

    [책읽는 대한민국] 도서관, 자율·전문성 강화를


    도서관과 관련한 정책 및 정책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도서관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인색하다. 왜 그럴까.

    흔히 선진 외국에 비해 우리 사회의 도서관 1관당 인구수나 1인당 장서수가 크게 뒤지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역사적으로 오랜 근대적 공공서비스를 발전시킨 서구사회가 우리보다 많은 도서관과 장서를 확보하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문제는 꾸준한 정책적 지원과 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왜 도서관에 대한 평가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는가에서 찾아져야 한다.

    과거 도서관 정책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도서관 수를 늘리기 위해 시설 장서 인력 등과 같은 부분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은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하락이나 운영 전문성의 미흡, 분화되고 세분화된 서비스의 취약함 등과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

    뿐만 아니라 도서관 정책을 ‘시설’ 정책이라고 하는 차원으로 끌어내림으로써 개인, 지역사회, 국가 발전과 관련해 이 정책이 담당하여야 할, 보다 확장된 역할과 기능을 매우 협소한 영역으로 축소하는 문제를 불러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서관 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이 필요하다. 곧, 양적 통계지표 중심의 정책을 벗어버리고 내용적으로 도서관서비스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과감한 정책적 방향 전환이 요청된다. 이를 통해 도서관에 대한 지원을 시설건립 중심에서 운영지원 중심으로 전환하고, 세분화·전문화된 서비스를 위해 도서관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지원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도서관 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있어서 광역 및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중앙정부를 통해 하달하는 정책이 아니라 지역에서 스스로 고민하고 그 해결책을 마련토록 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관련 법과 제도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작업도 뒤따라야 한다.

    도서관의 중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의 도서관 현실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의 문제는 앞으로 도서관 정책이 풀어야할 과제이다.

    분명한 것은 도서관에 대한 정책적 초점과 접근 방식이 크게 변화될 때에만 오늘날 도서관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찾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김세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문화예술정책연구실장
목록으로